[이슈분석]DID는 우리생활을 어떻게 변화시키나

[이슈분석]DID는 우리생활을 어떻게 변화시키나

분산ID(DID)는 그동안 아이디(ID), 패스워드 시스템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서 탄생했다. 은행, 공공기관에서 중앙집중식으로 관리하는 ID, 패스워드는 숱한 개인정보 유출사고를 겪었다. 해당 사이트와 연계 되지 않으면 ID를 다른 곳에서 활용도 어렵다. 게다가 개인정보를 자신이 아닌 제3의 기업, 기관이 보유하면서 과도한 마케팅 활용 등 개인정보 자기주권화 흐름과도 배치된다.

반면 DID는 중앙화된 기관에 속하지 않는다. 탈중앙화다. 어떤 곳에서든 나를 증명하는 것은 내가 갖고 있는 정보로 가능하게 한다.

분산ID는 우리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결제부터 공공서비스 이용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오픈마켓에서 간편인증 서비스를 통해 물건을 구입할 뿐 아니라 금융, 의료 서비스를 받기위한 본인인증도 가능하다. 또한 학력, 자격증 등 자신이 갖고 있는 증명서를 확인하기도 한다. 일상생활에 필요한 모든 인증이 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게다가 이들 인증은 제3의 위탁기관이 아닌 자신의 스마트폰 등 안전한 곳에서 관리·운용 된다.

뿐만 아니라 분산ID를 바탕으로 새로운 수익모델도 기대 가능하다. 기존 중앙집중식 아이디, 패스워드 방식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역할만 했다. 기업 등은 개인정보를 받아 서비스를 제공하고, 마케팅 등에 활용하지만 이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제공하지 않았다.

실제 주요 DID플랫폼에서 선보이는 서비스는 가까운 분산ID 활용 사례를 가늠하게 한다.

SK텔레콤 등 이동통신 3사가 주도하는 DID서비스는 모바일 출입통제, 단말 분실파손보험 서비스 지역화폐 등에 서비스를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아이콘루프 '마이ID' 서비스는 블록체인과 생체인증을 이용해 개인 신원증명에 필요한 각종 금융거래 절차를 간소화했다. 라온시큐어는 파이도(FIDO)를 활용한 분산DID플랫폼 '옴니'는 생체인증을 통한 편의성과 다양한 활용성을 앞세운다.

업계 관계자는 “분산ID는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자하는 움직임과 함께 서비스 제공기관마다 개인정보를 관리함에 따른 위험, 불편함으로 시작됐다”면서 “실생활에서 사용자가 주민등록증 등 신원증명을 관리하는 것처럼, 온라인에서도 개별 서비스 제공기관이 아닌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신원정보를 관리·통제하는 새로운 인증체계 필요해 등장했다”고 말했다.

정영일기자 jung01@etnews.com,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