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소재혁신 '디지털'에서 답 찾자

15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디지털 소재혁신 강화 실행계획'은 여러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전통 산업이자 변화의 속도가 느린 소재 산업에 디지털을 접목해 체질을 바꾸겠다는 선언이기 때문이다. 특히 소재 산업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고 친환경 및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바뀌기 위해 디지털 전환 및 데이터 활용에 방점을 찍은 것은 시의적절하다.

정부는 화학·금속·세라믹·섬유소재 중심으로 수소경제, 탄소중립, 미래 모빌리티 분야 8대 선도 프로젝트를 선정해서 집중 지원한다. 또 소재 산업 혁신을 위한 데이터 표준화도 추진한다. 8대 선도 프로젝트별 데이터 항목, 구조, 방식 등 표준입력 템플릿을 확보하는 것이 골자다. 데이터베이스(DB) 구조를 소재 개발 단계별로 표준화해서 개별 데이터의 상호 호환 및 연계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소재 산업 혁신에 활용할 수 있는 양질의 데이터 축적에 초점을 맞춘다. 2022년까지 10만건 이상의 공공 데이터를 확보하고, 통합 저장 및 처리 기법을 개발한다.

소재 개발에 인공지능(AI)을 활용한다는 계획도 시선을 끈다. 소재 개발 AI 예측모델을 개발하고, 활용 목적별 서비스 제공과 소재의 부품화 가능성 검증 등의 과정에 AI를 활용한다는 것이다. 또 가상공학 플랫폼과 연계, 데이터 기반으로 개발된 소재의 부품화 가능성을 검증한다.

이번 실행계획은 소재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본격화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우리 정부가 일본 수출규제 조치 이후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국산화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핵심 소재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등 경쟁국에 비해 출발은 늦었지만 미래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소재 산업의 디지털 전환이 본격화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이날 함께 출범한 '소재개발 디지털 전환 연대'가 업계 목소리와 정부 정책이 조화롭게 조율될 수 있는 창구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