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톡]오미크론, 낙관은 금물

오미크론 변이 맞춤형 방역·의료체계가 가동된다. 모든 확진자에 동등하게 적용되던 방역·의료 체계를 중증화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 기저질환자 중심으로 개편하는 것이 골자다. 대다수 경증·무증상 환자는 스스로 건강 상태를 관리하다가 필요하면 동네 병·의원에서 비대면 진료를 받게 된다. 한정된 방역·의료 자원을 고위험군 관리와 위중증·사망 위험 예방에 활용하는 것이 오미크론 방역 체계 전환의 핵심이다. 이달 4일 정부는 “확진자가 증가하더라도 의료체계 여력이 충분한 경우 계절 독감과 유사한 일상적 방역·의료체계로의 전환 가능성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독감 방역 전환 가능성을 공식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델타 변이보다 전파력은 2배 이상 높지만 치명률은 5분의 1 수준인 오미크론 변이 확산과 함께 코로나19의 독감화 가능성과 일상회복 기대감이 다시 고개를 드는 모습이다. 다만 섣부른 낙관론은 아직 위험하다.

우선 코로나19 치명률이 여전히 높다. 오미크론 변이 감염 시 위중증률은 0.42%, 치명률은 0.15%다. 치명률이 0.8%인 델타 변이에 비해서는 낮지만 계절성 독감 치명률(0.04∼0.08%)보다 2~3배 높다.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 바이러스 노출을 최소화하고 위중증 환자에 대한 집중 관리가 이뤄진다는 전제 조건 하에서다. 일반 코로나19 환자가 편하게 동네 병·의원을 찾아가 진료와 처방을 받거나 비대면 진료를 받기 위한 여건도 충분치 않다. 병·의원 검사·치료와 재택치료 관리에 참여하는 의료기관이 아직 부족하고, 자가진단키트 수급난도 우려된다. 조기 투약하면 중증화율과 치명률을 낮출 수 있는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물량도 대규모 처방·투약이 가능할 만큼 충분하지 않다. 독감의 경우 의심 환자에게 타미플루 등 항바이러스제를 선제적으로 투여하기도 하는 것과 비교된다.

무엇보다 아직 오미크론의 정점이 오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질병관리청은 2월 말경 국내 확진자가 13만~17만명 수준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방역당국의 애초 예측치를 뛰어넘는 규모다. 현재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확진자 규모가 단기간 급증할 경우 이에 비례해 위중증 환자가 증가하며 의료체계 과부하가 올 수 있다.


확진자가 급증하면 경증·무증상 관리 체계에도 빨간불이 켜질 수 있다. 확진 판정을 받고 2~3일이 지나도록 별다른 안내를 받지 못하고 방치되거나 10대 환자가 격리 해제 후 나흘 만에 숨진 사례처럼 환자 관리에 구멍이 생길 수 있다. 위기는 방심할 때 찾아왔다. 오미크론 유행의 정점을 확인해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충분한 준비 체계가 갖춰졌을 때 성공적인 '위드 오미크론' 전략이 가능할 수 있다. 이번이 코로나19와의 싸움에서 '마지막 고비'가 되기를 희망한다.

[ET톡]오미크론, 낙관은 금물

정현정기자 i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