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철강, 美 관세보다 쿼터 축소 우려…탄소세 예의주시

포스코 포항제철소 2고로 출선 모습. 포스코
포스코 포항제철소 2고로 출선 모습. 포스코

우리나라 철강 업계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편 관세보다 쿼터 축소에 더 큰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보편 관세는 모든 나라에 부과, 동일한 경쟁 조건이지만, 실질적인 수출 품목 축소는 직접적인 타격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최근 언급되고 있는 탄소세에 대해서도 예의주시하고 있는 모습이다.

철강 업계에 따르면 현재 미국으로 수출되는 우리 기업들의 철강재는 50여가지에 달한다. 쿼터가 축소될 경우 전체 물량이 줄어들게 되고 그 규모에 따라 수익성 중심으로 품목을 조정될 수 있다. 특히 미국 시장은 산업 수준이 높은 만큼 고가의 제품이 다수 수출되고 있어, 쿼터 축소에 따른 품목 조정 후보가 마땅치않은 것도 문제다.

최근 언급되는 탄소세에 대해서도 파악하고 있다. 트럼프 2기 첫 재무장관으로 내정된 스콧 베센트 지명자는 최근 상원 인사청문회에서 '외국 오염 수수료'에 대한 질문에 “전체 관세 프로그램의 일부가 될 수 있는 매우 흥미로운 아이디어”라고 답했다.

중국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탄소세가 부과되면 우리나라 철강업계의 가격 경쟁력은 타격을 입게 된다. 다만 미국이 탄소세와 관련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지 않아 정책 추진 방향을 지켜봐야 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보편 관세가 부과되며 일부 품목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겠지만 타 국가도 똑같이 관세가 부과되기 때문에 대응책 마련이 오히려 심플할 수 있다”며 “쿼터를 건드리는 것이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이어 “아직 미국에서 어떤 정책을 펼칠지 모른다”며 “정책이 나오면 적시에 대응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 “미국은 배출거래제 등 탄소세와 관련한 개념이 없다”면서 “대미 수출품에 적용을 하겠다는 것인지, 청정경쟁법을 그대로 쓸 것인지 등 정해진 것이 없는 상태다”고 전했다.

조성우 기자 good_sw@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