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조직개편 향방에 촉각
조기 대선 시계가 돌아가면서 당장 정부부처 개편 향방이 초미의 관심사로 부상. 기획, 재정, 기후, 에너지, 통상, 인구, 균형발전 등의 기능을 두고 다양한 관측이 제기되는 가운데 국회엔 관련 법률안도 쌓이고 있어. 이런 상황에서 부처 구성원 인식은 극명한 차이. 우선은 현재 부처 기능이 안착됐고, 그동안 조직개편의 시행착오, 해외 사례 등을 들어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 하지만 인사적체 등 만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판을 깰 필요가 있다는 반론도 존재. 물밑에선 이미 치열한 전쟁(?) 중일지도.
○…〈2〉기획재정부는 어떻게?
단일 부처로는 '공룡부처'인 기획재정부가 기획예산처, 재정경제부 등으로 쪼개질지가 초미의 관심사. 대선 후보가 막상 권력을 잡으면 다른 생각이 들어 유야무야되거나, 쪼개져도 자리가 늘어 인사적체가 해소되고 다시 합쳐질 것이라는 게 기재부 직원들 반응. 또 매년 폭염·폭우·태풍·산불 등 이상기후로 인한 재해·재난이 반복되고 있어 정부 내 기후위기 대응 컨트롤타워 구축은 정파를 넘어선 시대정신라는 공감대가 반론으로 제기되기도. 하지만 정치권과 외부의 평가와 시각이 변수라는 분석.
○…〈3〉대통령 세종집무실도 주목
차기 대통령 집무실로 세종시가 다시 주목. 용산 대통령실에 대한 불신과 청와대 개방으로 인한 활용 어려움으로 '세종 제2집무실' 추진 속도가 빨라질 것이란 이야기가 나오는 것. 세종 부처들은 대체로 반기는 분위기. 다만 대선까지 부족한 시간이 변수. 특히 당초 추진됐던 세종 제2집무실은 준공 목표가 2028년이고, 대통령실 완전 이전을 위한 사전 기획도 없었다는 점이 한계. 세종관가에서는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의 대통령 임시 집무실 활용 방안이 또 다시 고개를 들 것이란 관측도.
〈세종팀〉
최호 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