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가을 출시 아이폰17 가격인상 검토”…대중 관세 영향?

애플이 올가을 출시할 아이폰 시리즈의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애플이 올가을 출시할 아이폰 시리즈의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애플이 올가을 출시할 아이폰 시리즈의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1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애플이 오는 9월 출시할 예정인 아이폰17 시리즈에 새로운 기능 추가 및 디자인 변경을 추진하면서 가격 인상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이폰의 가격이 인상되면 달러 기준으로는 2022년 이후 3년 만이다. 현재 아이폰 기본 모델은 799달러(128GB)부터, 고급 모델인 프로맥스는 1199달러(256GB)부터 시작된다.

가격 인상 폭과 새로 추가되는 기능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새로운 아이폰에 탑재되는 새 운영체제의 디자인은 전반적으로 변경될 것으로 보인다.

또 새로운 라인업에는 아이폰16 플러스를 대체할 초박형 모델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서 수입되는 아이폰은 지난달 11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제외 품목으로 지정됐지만, 이른바 펜타닐 관세 20%는 여전히 적용받고 있다. 이에 공급업체로부터 추가적인 비용 절감을 통해 대(對)중국 관세 비용을 충당하기 쉽지 않아 가격 인상이 없다면 애플의 마진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팀 쿡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일 분기 실적 발표 당시 현재 관세로 인해 이번 분기에 약 9억 달러(약 1조2700억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향후 더 많은 비용이 뒤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애플은 아이폰 생산을 중국에서 다른 지역으로 다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상당 부분은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다.

지난해 인도에서 생산된 아이폰은 전 세계 출하량의 약 13∼14%를 차지했으며, 올해는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미국과 인도의 수요를 따르기에는 부족하다.

아빌라시 쿠마르 테크인사이트 애널리스트는 “2026년 말이나 2027년 초가 되어야 인도 공장이 미국과 인도의 아이폰 수요를 모두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부품 조달에는 여전히 중국이 중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원지 기자 news21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