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청, 강화남단 경제자유구역 지정 이달 말 신청

6.32㎢ 규모, 3조원대 투자…올 하반기 구역 지정 기대
첨단산업·K-문화·친환경 미래도시로 개발 추진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전경.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전경.

인천경제자유구역청(청장 윤원석)은 강화남단 지역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기 위한 행정절차를 이달 말 마무리할 예정이라고 9일 밝혔다.

인천경제청은 오는 23일까지 개발계획(안) 공람을 통해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16일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사전 자문을 받아 전문가 의견을 최종 청취한다. 이후 보완된 계획안으로 산업부에 신규 지정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지정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면 정부는 올해 하반기 중 개발계획 승인과 구역 지정을 고시할 수 있다.

강화남단은 인천국제공항과 인접한 공항경제권으로, 기존 송도·영종·청라 등 인천경제자유구역(IFEZ)과 연계가 가능한 전략적 입지로 평가받는다. 풍부한 문화유산과 서해를 품은 자연환경 등 문화관광 경쟁력도 갖췄다.

인천경제청은 이 일대를 △첨단산업과 인공지능(AI) 기반의 지속가능 도시 △역사·문화·자연이 어우러진 K-문화 도시 △친환경 정주형 미래도시로 개발할 계획이다. 특히 첨단산업 분야는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에 맞춰 레드·그린·블루·화이트 바이오를 아우르는 K-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을 목표로 한다. 레드 바이오(의료·제약)는 한방자원과 연계한 기능성 의약품 개발, 의약 소재 연구, 임상시험 네트워크 구축 등 바이오헬스 산업을 집중 육성한다. 그린 바이오(농생명·식품)는 지역 농특산물과 연계한 기능성 식품, 화훼 단지, 유전자 기반 작물 연구개발 등이 포함된다. 화이트 바이오(에너지·환경), 블루 바이오(해양) 산업도 함께 추진된다.

개발계획(안)에는 스마트팩토리, 로봇, AI, 모빌리티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제조 산업 클러스터 조성 방안도 담겼다. 자연, 역사, 문화 자원을 활용한 체험형 관광 콘텐츠와 숙박·레저 시설을 결합해 관광 수요 창출도 노린다.

이번 신규 지정 및 개발 구역은 화도면, 길상면 일대 6.32㎢(약 190만평)로, 총 사업비는 약 3조2000억원으로 추정된다. 2035년까지 기반시설 공사와 토지 공급을 마칠 계획이다.

윤원석 청장은 “강화남단 경제자유구역 확대는 인천의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핵심 사업”이라며 “강화남단을 첨단산업과 글로벌 관광의 거점으로 만들어 접경지를 국가정책의 중심지로 도약시키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공약사업에 반영돼 정책적 정당성과 추진 기반이 한층 강화됐다”며 “강화남단이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덧붙였다.

인천=김동성 기자 esta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