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썸네일
    포스텍, 금속입자 '레고'처럼 분해·재조립하는 기술로 차세대 발광소재 개발

    포스텍(POSTECH) 연구팀이 최근 금(Au) 나노클러스터(nanocluster)1)를 분해한 후 구리(Cu)와 다시 조립하는 기술로 기존보다 14배나 더 밝은 금속입자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박선아·서종철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이번 연구는 나노과학 분야 권

    2025-06-20 08:19
  • 기사 썸네일
    DGIST, '2026 QS 세계대학평가' 논문 피인용 지표 세계 4위·국내 1위 달성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이건우)이 영국 대학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이 발표한 '2026 QS 세계대학평가(QS WUR)'에서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부문 세계 4위·국내 1위에 올랐다.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2025-06-20 08:10
  • 기사 썸네일
    IITP, 인구문제 릴레이 캠페인 동참...디지털 혁신 기술 개발로 문제 극복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원장 홍진배)은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복지인재원이 공동 기획한 '인구문제 인식 개선 릴레이 캠페인'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 캠페인은 인구 감소와 인구구조 변화 등 다양한 인구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기획됐으며, 지난해 10월부

    2025-06-19 19:18
  • 기사 썸네일
    화학연, 고산테크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핵심기술 이전

    전세계가 RE100 달성을 위해 재생에너지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태양광 기술의 대량생산 길을 열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고산테크와 19일 오전 11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팅용 재료 및 공정 핵

    2025-06-19 19:14
  • 기사 썸네일
    서울-부산 20분 '하이퍼튜브' 등 선보여...철도연, 국토교통기술교류회 참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원장 사공명)은 19~20일 서울 코엑스 D홀, 컨퍼런스룸E에서 열리는 '2025 국토교통기술교류회'에 참가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철도연은 차세대 초고속 교통수단인 '하이퍼튜브 축소 모형'과, 터널 내 화재 시 탑승객의 대피를 돕는 '이동형 영상감시시

    2025-06-19 18:46
  • 기사 썸네일
    표준연, 암 진단·치료 등 다기능성 스마트 나노물질 개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원장 이호성)이 암 진단과 치료, 면역 반응 유도를 동시에 수행하는 나노물질을 개발했다. 진단과 치료 중 한 가지 기능만 수행하던 기존 나노물질에 비해 치료 효율이 한층 높아 나노기술을 응용한 차세대 암 치료 플랫폼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2025-06-19 18:41
  • 기사 썸네일
    생명연, 운동시 분비되는 '근골격 노화 방지' 단백질 찾았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권석윤)은 양용열 노화융합연구단 박사팀이 김낙성 전남대 교수팀과 운동 효과를 뒷받침하는 단백질 'CLCF1'을 발견, 이 단백질이 운동 중에 근육에서 분비돼 근골격 노화를 억제함을 밝혀냈다고 19일 전했다. 연구진은 먼저 젊은 사람들과 나이든 사

    2025-06-19 18:32
  • 기사 썸네일
    KAIST, AI가 '창의적' 그림 그리는 길 열었다

    최근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모델은 자연어 제공 설명만으로도 고해상도·고품질 이미지를 자동 생성할 수 있다. 하지만, '스테이블 디퓨전 모델'에서 '창의적인'이라는 텍스트를 입력했을 경우, 창의적인 이미지 생성은 아직은 제한적인 수준이다. 이런 가운데 한국과학기술원(

    2025-06-19 18:26
  • 기사 썸네일
    충남-KAIST, 내포 농생명 클러스터 內 '그린바이오연구소' 설립 협약체결

    충남이 조성 중인 내포 농생명 융복합산업 클러스터(내포 농생명 클러스터) 내 그린바이오 벤처캠퍼스에 KAIST 그린바이오연구소가 들어선다. 충남도는 선도 바이오 기업인 셀트리온 생산 시설에 이어 세계적인 연구 중심 대학 KAIST의 연구소까지 유치, 내포 농생명 클러스

    2025-06-19 15:00
  • 기사 썸네일
    ITER 韓 사업단, 820억 규모 국제핵융합실험로 전원공급장치 추가 수주

    우리나라가 땅 위 인공태양으로 불리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의 전원 핵심 장치를 추가 수주했다. 핵융합분야 후발 국가로서 국제사회 기술력 인정을 통해 핵융합 국제협력 강화 등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ITER 국제기구와 ITER 한국사업

    2025-06-19 14:00
  • 기사 썸네일
    “두 사람이 함께 걷는 가상 세계”…GIST, '2025 메타버스 엑스포'서 초슬림 전 방향 트레드밀 기술 선보여

    광주과학기술원(GIST·총장 임기철)은 윤정원 인공지능(AI)융합학과 교수팀이 18~20일 코엑스 C홀에서 열리는 '2025 메타버스 엑스포(METAVERSE EXPO 2025)'에 참가해 초슬림·초고속 360도 전 방향 트레드밀을 활용한 메타버스 보행 상호작용 플랫폼

    2025-06-19 10:54
  • 기사 썸네일
    KIST, 캐나다서 양자 협력 모색하고 우리기업 알려...'글로벌 브릿지' 놓았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원장 오상록)이 캐나다에서 개최된 국제 양자 콘퍼런스에 공식 초청돼, 우리 양자 기술과 기업을 소개하고 협력을 모색했다. KIST는 18~19일(현지시간) 이틀간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에서 열린 '2025 퀀텀 나우'에 참가해 양자 기술 협력

    2025-06-19 09:21
  • 기사 썸네일
    에너지연, 국산 대형 풍력발전기 시대 열었다...블레이드 설계 플랫폼, 통합 인프라 국산화 성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이창근)은 유철 풍력연구단장 연구진이 국내 독자 기술로 초대형 풍력 블레이드 설계 플랫폼과 제작·시험 통합 인프라를 구축했다고 19일 밝혔다. 12메가와트(㎿)급 블레이드를 설계해 국내 최초로 국제 인증기관 설계 인증까지 획득했다. 현재 기존

    2025-06-19 09:00
  • 기사 썸네일
    포스텍, 충격·오염에도 끄떡없는 메타렌즈 개발

    포스텍(POSTECH)은 노준석 기계공학과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양영환(현 창원대 기계공학부 교수)·강도현·성준화 씨 연구팀이 외부 충격과 오염에 취약한 '메타렌즈'를 보호할 방탄복을 만들었다고 19일 밝혔다. 메타렌즈(metalens)는 기존 렌즈와 전혀 다른

    2025-06-19 08:16
  • 기사 썸네일
    정명근 시장 “화성, 'MARS 2025'로 AI 미래도시 도약”

    경기 화성특례시가 18일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국내 최초로 지방정부가 주최하는 대규모 인공지능(AI) 엑스포 'MARS 2025'의 막이 올랐다. 행사는 글로벌 기업, 석학, 청년이 한자리에 모여 AI 기술과 산업, 정책, 교육, 문화가 융합된 새로운 도시 모델을

    2025-06-18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