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브랜드경쟁력 상승세 이어가…`쿠쿠` 1위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2015년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 순위와 점수브랜드 순위별 전년대비 NBCI 상승폭업종별 NBCI 평균 추이

국내 브랜드 경쟁력이 상승세다. 브랜드별 편차는 줄어들어 향후 치열한 경쟁을 예고했다.

한국생산성본부(KPC)가 공동 주관하고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한 2015년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조사에 따르면 국내 기업 브랜드 NBCI 평균 점수는 72.3점으로 지난해(70.3점) 대비 2.8% 상승했다.

<업종별 NBCI 평균 추이>
<업종별 NBCI 평균 추이>

NBCI는 브랜드 가치 중심 경영 마인드 확산과 국가 브랜드 가치 향상을 목적으로 지난 2004년부터 발표된 브랜드경쟁력 측정 지표다. 소비자가 생각하는 현재 브랜드 가치 수준을 파악하고, 미래 시장을 예측하는 기반이 된다.

올해 조사는 62개 산업, 223개 브랜드에 걸쳐 사용자 3만1220명, 비사용자 8만9320명 등 총 12만54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지난해와 달리 종합병원 산업군 조사결과는 발표에서 제외됐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로 종합병원 조사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은 탓이다.

2015년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전년과 비교 가능한 57개 산업 가운데 44개 산업 NBCI 점수가 올라갔다. 9개 산업은 지난해와 같았다. 점수가 낮아진 산업은 4개 산업에 불과했다.

NBCI 점수가 가장 높은 산업은 지난해에 비해 7점 상승한 TV(78)였다. 국내 TV 산업은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시장을 양분하는 상황이다. UHD·곡면 TV, 대형 화면, 베젤리스 디자인 등 하드웨어 측면에서 고객이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부분 개선이 이뤄져 평가 지수가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태블릿PC(77)가 전년 대비 3점 오르며 2위를 차지했다. 태블릿PC 업체가 다양한 제품 출시로 높아진 소비자 눈높이에 대응한 효과로 풀이된다. TV와 태블릿PC에 이어 베이커리(76), 면세점·오픈마켓(각 75)이 5위권에 들었다.

브랜드 경쟁력이 가장 낮은 산업은 증권(69)으로 조사됐다. 증권 NBCI 점수는 지난해와 같았다. 증권 산업은 다양한 업체 등장과 위탁매매 수수료율 하락 등으로 시장 경쟁이 치열하다. 증권 업계가 금융업 영역 파괴에 대응해 전통적 수수료 중심 수익보다는 우수한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경쟁 우위를 결정지을 전망이다. 정수기·아웃도어·생명보험·국제항공(70) 등도 브랜드 경쟁력 하위권에 머물렀다.

제조와 서비스업으로 나눠보면 제조업 33개 산업(118개 브랜드) NBCI 평균은 72.3점으로 작년 대비 2.5점 높아졌다. 서비스업은 29개 산업(109개 브랜드) 평균이 72.4점으로 1.4점 올랐다.

브랜드별로는 70점 이상이 179개로 지난해 130개에 비해 늘어났다. 조사대상 브랜드 223개 중에서 NBCI가 하락한 곳은 8개(3.6%)에 그쳤다.

전체 브랜드 1위는 ‘쿠쿠(전기밥솥)’가 차지했다. 쿠쿠는 79점으로 ‘제주삼다수(생수)’ ‘코웨이정수기(정수기)’ ‘삼성 TV(TV)’를 소수점 수준에서 근소한 차이로 앞섰다. 5위는 ‘신라면(라면)’이었다. ‘Korean Air(국제항공)’ ‘윌(마시는 발효유)’ ‘파리바게뜨(베이커리)’ ‘에쿠스(대형자동차)’ ‘LG 휘센(에어컨)’이 10위권에 올랐다.

2015년 브랜드별 경쟁력 지수는 2004년 첫 조사 이래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2년 연속 상승했다. 브랜드 경쟁력 상승 근본 배경은 고객 대상 마케팅 활동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소비 침체에 대응하고자 소비자가 당장 체감할 수 있는 가격 요소에 마케팅 자원을 집중한 하위 브랜드 지수 상승이 눈에 띄었다. 이들 브랜드가 향후 업계 리더로 입지를 굳히려면 혁신적 상품 개발이나 품질관리 역량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2위권 브랜드 경쟁력이 크게 높아진 것도 주목해야 할 대목이다.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2, 3위 브랜드 경쟁력지수 상승폭이 1위를 웃돌았다. 1위 업체로서는 브랜드 선두를 유지하기 위해 고객 눈높이와 브랜드 콘셉트에 맞는 마케팅 활동 강화가 필요하다. 2위 이하 브랜드는 상승 모멘텀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수 있는 적극적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