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HDTV, 3D에서 4K UDTV로…주파수 재배치 변수도

KBS가 초고선명TV(UDTV) 실험방송을 추진하면서 차세대 TV시장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했다. 그간 포스트 고선명TV(HDTV) 시장의 강력한 후보로 꼽히 3DTV가 UDTV의 반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UDTV가 3DTV를 밀어내고 주도권을 잡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세계적으로도 방송사들과 방송장비 업체들은 3D보다 4K를 중심으로 한 UDTV에 주력하는 추세다. 실험방송을 통해 가전사들과 협력함으로써 UDTV 단말기 시장 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국내 방송사 입장에서는 UDTV 서비스에 나서려면 재배치 논의가 한창인 700㎒ 주파수 확보가 과제다.

◇3D 지고, UDTV 부상=지난 4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방송장비전시회 `NAB 2012`에서도 방송장비 업체들이 내놓은 주력 제품은 4K 관련 제품이었다. 지난해까지 펼쳐진 3D 입체방송경쟁에서 화질경쟁으로 무게중심이 옮겨갔다.

3D가 주춤한 배경에 경제성과 기술적 한계가 꼽힌다.

지상파 방송사 관계자는 “지상파도 이제 3D를 건너뛴다고 봐야 한다”며 “3D 프로그램 제작단가는 일반 프로그램보다 두 배 이상 높은데 광고 단가는 같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4K UDTV는 제작비가 1.5배를 넘지 않아 해볼 만하다”고 덧붙였다.

결국 3D는 수익구조가 맞지 않는다는 뜻이다. 3D가 영화 등 개별 프로그램으로서는 효과적이지만 일정 시간 이상 장기간 송출해야 하는 방송사의 경제성이 맞지 않다는 평가다. 이에 앞서 KT스카이라이프가 실시간 채널 중단을 결정한 이유와도 일치한다.

기술적으로 4K 이상으로 화질이 향상되면 입체효과가 느껴져 UDTV가 3D를 대체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주파수 재배치 변수=방송통신위원회는 디지털방송 전환 과정에서 지상파 방송 채널을 재배치하고, 남는 700㎒ 주파수 대역 활용방안을 찾는다. 지금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동시방송을 위해 698~806㎒ 대역을 사용하지만, 디지털 전환을 완료하면 모두 470~698㎒ 대역으로 채널을 옮긴다.

남는 대역을 놓고 지상파 방송사들은 난시청 해소와 새로운 방송기술 연구를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반면에 방통위는 통신용 주파수로 쓰는 방안을 검토한다. KBS가 UDTV 실험방송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이유도 새 주파수 필요성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UDTV 주도권 선점 포석=UDTV 실험방송은 차세대 방송기술을 앞서 개발하고 시험한다는 측면도 있다. 4K 분야에서 가장 앞선 나라는 일본이다. 일본은 HDTV 시장에서 한국에 뒤진 것을 만회하기 위해 방송사와 가전사 모두 적극적이다. 영국 BBC도 일본과 협력해 런던올림픽에서 UDTV 중계를 준비한다.

우리나라는 아직 UDTV 상용화까지는 시간이 있는 만큼 실험방송을 시작으로 기술개발을 서둘러 UDTV 시장 선점을 노린다. 가전사들 역시 UDTV에 적극적이다. 올 연말 UDTV 출시를 앞둔 LG전자가 이번 실험방송에서 KBS와 협력하기로 한 것도 이 때문이다.

LG전자 관계자는 “KBS와 협력해 UDTV 실험방송에 적극 참여할 계획이며, 방송 일정이 구체화되면 자세한 협력방안을 논의할 것”이라며 “실험방송 참여는 UDTV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말했다.

김승규·권건호·전지연기자 se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