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새로운 벤처생태계 만들자

[사설]새로운 벤처생태계 만들자

벤처업계가 기대감에 부풀어 있다. 먼저 벤처 관련 단체 수장 대부분이 바뀐다. 벤처기업협회와 벤처캐피탈협회 회장이 교체됐다. '새 술은 새 부대'라는 슬로건으로 벤처업계가 새롭게 출발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정부 주도로 진행해 온 벤처확인제도도 민간으로 넘어간다. 이미 전담 조직을 발족했으며, 초대 벤처확인위원장에 정준 쏠리드 대표를 선임했다. 10여년 만에 민간 주도로 벤처확인제도가 바뀌는 것이다. 벤처확인제도는 지난 1998년 5월 도입 이후 총 4만여 벤처기업을 배출했다. 벤처기업은 2001년 1만개사를 첫 돌파한 이후 2010년에 2만개사, 2015년에 3만개사를 넘겨 지금은 3만7000여개사에 육박한다.

벤처기업은 지금까지 중소벤처기업부의 위탁을 받은 기술보증기금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서 인증을 내줬다.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이 올해 2월에 시행되면서 확인제도가 민간 주도로 운영된다. 정부가 운영할 당시에는 장점도 있지만 벤처다운 혁신기업 선별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확인제도가 민간으로 넘어오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보다 앞서 중기부는 민간 이양에 맞춰 기관을 지정하고 평가모형 설계, 전산시스템 구축 등 실무 준비를 해 왔다. 특히 올해 출범 초기의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다했다. 경영지표와 같은 보이는 정량 기준보다는 혁신 기술 등 무형의 경쟁력에 방점이 찍히면서 벤처다운 벤처가 인증을 받을 확률이 높아졌다.

민간 주도로 바뀐 흐름에 맞춰 벤처 생태계도 새판을 짜야 한다. 정부 입장에서 벤처기업 육성은 최대 정책 과제의 하나였다. 지원 방식은 벤처 육성 초기 단계임을 감안해 법제도 혜택, 자금 지원 등 주로 직접 지원 비중이 높았다. 최근에서야 생태계 등 기반 조성에 두 팔을 걷어붙인 상태다. 이제는 자생하고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에 무게 중심을 두고 정책 패러다임을 바꿔야 할 때다. 출발점이 민간벤처확인제도다. 제도가 연착륙할 수 있도록 민·관이 힘을 모아야 한다. 지금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벤처기업이 대한민국 경제의 중심축으로 떠오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