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플러스]의대 증원 후유증 계속…대학에선 삼중고 호소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 비대위원장이 9일 정부과천청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교육부 오석환 차관과 김홍순 의대교육지원관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 강요죄 등으로 고발하기에 앞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5.9. 연합뉴스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 비대위원장이 9일 정부과천청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교육부 오석환 차관과 김홍순 의대교육지원관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 강요죄 등으로 고발하기에 앞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5.9. 연합뉴스

내년도 의대 증원 논의는 마무리됐지만, 의정대립 진통이 지속되면서 대학에서는 교육부의 압박, 학사 준비, 트리플링 사태 대비 등 삼중고를 호소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학이 유급·제적 대상자 명단을 제출한 7일 기준으로 전국 40개 의대생 1만9475명 중 유급 대상자는 8305명(42.6%), 제적 대상자는 46명(0.2%)이다. 이어 교육부는 12일 “각 대학이 유급·제적 명단을 확정했다”며 “공문 내용과 다른 처리를 한다면 교육부는 학사 점검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지역 A대 관계자는 “복귀하지 않은 의대생과 정부가 계속 부딪히는 상황에서 대학에만 으름장을 놓고 있다”며 “교육부의 눈치도 봐야 하고, 유급과 제적생을 처리해야 하는 난감한 위치에 있다”고 토로했다.

교육부가 “예과 교육은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대학에서는 늘어난 학생이 동시에 수업을 듣는 상황에 대한 고충도 나온다. 수도권 B대 관계자는 “예과 수업은 전원 온라인 수업을 듣는 방식으로 공간 문제 등은 해결했다”면서도 “교수들 사이에서 수업의 질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크다”고 설명했다.

당장 유급 시점이 확정되지 않은 대학에서는 유급 이후 상황에 대한 대책 마련도 여전히 논의 중인 상태다.

수도권 C대 관계자는 “우리 대학은 학칙상 유급이 결정되는 시점은 학기 말”이라며 “지금은 유급에 대한 대책 마련보다는 일단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여러 가지 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답했다.

[에듀플러스]의대 증원 후유증 계속…대학에선 삼중고 호소

내년에 26학번이 입학해 24, 25학번과 동시에 수업을 듣게 되는 '트리플링' 사태도 현실화했다. 동아대, 전북대 등 일부 대학에서는 26학번에 수강신청 우선권을 주는 등의 학칙을 개정하긴 했지만 많은 대학은 여전히 준비가 미비한 상황이다. 교육부가 예측한 내년도 예과 1학년 수업 인원은 5000~6000명 수준이다.

지역 D대 관계자는 “지금 복귀한 의대생 학사 일정 조율, 강의실 확보, 교원 배치 등도 복잡한 상황에서 아직 트리플링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까지는 세우지 못했다”면서 “앞으로 이 부분을 계속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유급 처분을 하지 않은 의대에 대한 구체적인 조치는 밝히지 않았다. 교육부 측은 “학사 점검 위반 사항에 대한 행정처분위원회 규정이 있다”면서도 “모집인원 감축 등 제재 양형을 미리 말하기는 어렵다”고 전했다.

이지희 기자 eas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