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6·3 대선을 보름 앞둔 19일 서울에 머물며 노인과 청년 등 핵심 계층을 겨냥한 정책 행보에 나섰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탈당 이후 당내 전열을 정비한 김 후보는 수도권 집중 유세를 통해 반전의 계기를 마련하겠다는 전략이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대한노인회 중앙회를 방문해 기초연금 인상과 노령연금 감액제도 폐지를 공약했다. 그는 “소득 하위 50%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기초연금을 월 40만원까지 단계적으로 인상하겠다”며 “일을 해도 연금이 줄어들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오후에는 서울 청계광장에서 '청년이 바라는 대한민국' 정책을 발표하며 2030세대를 직접 겨냥한 공약도 내놨다. △채용 비리 방지를 위한 '공정채용법' 제정 △군 가산점제 부활 △유연근무제 활성화 △직장 내 괴롭힘 방지법 등이 주요 내용이다. 또 결혼·출산 시 주거비를 최대 9년간 지원하는 '신혼 주거 패키지'와 반값 쉐어하우스 공급 등도 제시했다.
청년 주거 안정과 교통비 부담 완화 방안도 내놨다. 공공주택 10% 이상을 1인 가구 맞춤형으로 특별 공급하고, 대중교통 월 6만 원 정액제 카드를 도입하겠다고 했다.
이날 해외 투자자와 재계 인사를 대상으로 한 대외 메시지도 이어졌다. 김 후보는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와의 간담회에서 “당선 즉시 6월 중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추진하겠다”며 “한미 동맹을 경제·기술·국방 협력의 핵심 축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외국 기업의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법인세 감면과 규제 철폐를 약속한다”며 “규제혁신처를 신설해 과감한 규제 개혁을 단행하겠다”고 말했다. 또 “K방산과 미국의 첨단 기술을 결합한 국방 연구개발(R&D) 협력을 추진하고, 주한미군 주둔 기반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후보는 이날 일정을 서울역 광장 거리 유세로 마무리했다. 퇴근길 직장인들의 표심을 공략했다. 김 후보는 이번 주에 계속해서 공약과 연관된 현장을 직접 찾으며 정책 비전도 함께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