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썸네일
    삼성전자, 갤럭시A1 시리즈에도 OIS 탑재 추진

    삼성전자가 보급형 스마트폰인 '갤럭시A1' 시리즈에도 광학식 손떨림 방지(OIS) 카메라 탑재를 추진한다. OIS는 카메라 떨림을 보정해 사진 선명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갤럭시A1 모델에 OIS를 탑재하기 위한 방안을 부품 협력사와 협의

    2025-06-04 07:30
  • 기사 썸네일
    “지난해 리튬이온 배터리 가격 20% 하락” IEA 조사

    전기차용 배터리 공급 과잉과 중국발 경쟁 심화로 지난해 리튬이온 배터리 가격이 역대 최대 하락폭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최근 발간한 '글로벌 EV 전망 2025'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리튬이온 배터리 팩 가격은 전년 대비 20% 떨어져 2

    2025-06-04 07:00
  • 기사 썸네일
    [새정부 핵심 과제] 〈3〉반도체 등 첨단산업 초격차 회복

    우리나라 경제 주춧돌이 첨단산업 경쟁력 회복이 새정부 핵심 과제로 손꼽힌다. 반도체·디스플레이·배터리 분야 국가 간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면서 지원 정책 수립과 시행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우리나라 수출 1등 품목인 반도체는 '사면초가'다. 미국과 대만이 앞선

    2025-06-03 23:18
  • 기사 썸네일
    TSMC CEO “美 관세 영향에도 AI로 사상 최대 실적 경신할 것”

    TSMC가 미국 관세로 인한 영향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인공지능(AI) 수요 덕에 올해 사상 최대 실적을 낼 것이라고 예고했다. 웨이저자 TSMC 최고경영자(CEO)는 3일 열린 주주총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미국 관세가 회사에 일부 간점적 영향을 줬다고 인정하면서도

    2025-06-03 17:53
  • 기사 썸네일
    SK하이닉스, 삼성전자 제치고 1분기 글로벌 D램 시장 점유율 1위

    SK하이닉스가 1분기 삼성전자를 제치고 글로벌 D램 시장 1위를 차지했다. 3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SK하이닉스 1분기 D램 매출은 97억1800만달러로 시장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매출 91억달러로 시장 점유율 33.7%를 기록, 2위에

    2025-06-03 16:54
  • 기사 썸네일
    [소부장 인사이트] 이차전지 화재 안전, 제도 정비가 시급하다

    이차전지는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휴대용 전자기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핵심 부품으로 자리 잡으며 대한민국의 미래 산업을 이끄는 엔진이 되고 있다. 동시에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이라는 국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기반 기술로도 주목받는다. 그러나 기술 발전

    2025-06-03 16:00
  • 기사 썸네일
    '차세대 증착 기술 확보'…日 TEL, 한양대에 R&D센터 구축

    일본 최대 반도체 장비 업체인 도쿄일렉트론(TEL)이 한양대에 연구개발(R&D)센터를 설립했다. TEL이 국내 대학에 R&D센터를 구축한 건 처음으로, 증착 기술 고도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TEL 제조 자회사인 TEL테크놀로지솔루션즈는 서울 한양대 내에 공동 R&D센터

    2025-06-02 13:32
  • 기사 썸네일
    SEMI, 1분기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전년比 2%↑

    SEMI(옛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는 1분기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28억9600만 제곱인치를 기록했다고 2일 밝혔다. 성장률은 지난해 3분기 6.8%를 기록한 이후 둔화되는 모습이다. 전분기 대비 출하량은 계절적 요인과 공급망 전

    2025-06-02 13:28
  • 기사 썸네일
    필에너지, 獨 '더배터리쇼'서 슈퍼 커패시터 장비 공개

    필에너지는 3일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개막하는 '더배터리쇼 유럽 2025'에 참가한다고 2일 밝혔다. 1000여개 기업이 배터리 기술을 소개하는 전시회로, 필에너지는 슈퍼 커패시터 제조 장비를 선보인다. 슈퍼 커패시터는 기존 커패시터보다 큰 용량의 전기를 저장하고 충전

    2025-06-02 10:48
  • 기사 썸네일
    솔루스첨단소재, 中CATL에 전지박 공급

    솔루스첨단소재가 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업체인 중국 CATL과 전지박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회사는 2026년부터 헝가리 공장에서 생산된 전지박을 CATL 유럽 배터리 공장에 공급하기로 했다. 국내 전지박 업체 중 CATL과 유럽 권역 파트너십 계약을 맺

    2025-06-02 10:24
  • 기사 썸네일
    한국공학대, AI 반도체용 TGV 기술 국산화 대형 프로젝트 본격화

    한국공학대학교(총장 황수성)는 산업통상자원부 '소부장 미래혁신기반 구축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한국공학대는 4년간 국비 100억원을 지원받아, 차세대 인공지능(AI) 반도체용 초박형 기판의 유리관통 전극(TGV) 기술을 국내에 구축하는 대형 프로젝트

    2025-06-02 09:15
  • 기사 썸네일
    '협업'으로 기술 한계 돌파한 韓 반도체 소부장 기업들

    반도체 산업에서 '협업'은 필수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기술 난제는 복잡해지고 연구개발(R&D) 비용은 급증하면서, 한 기업이 모든 과제를 감당하긴 어려워졌다. 연구실과 양산 현장 간 간극도 커지며 글로벌 공동 개발의 중요성이 커졌다. 이 가운데 벨기에의 반도체 종합

    2025-06-02 07:30
  • 기사 썸네일
    세계 5대 반도체 장비사 1분기 매출 23% 성장…중국 비중은 급감

    글로벌 상위 5개 반도체 장비 기업의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3%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도체 경기 회복에 대비한 대만과 한국 시장 성과가 두드러진 반면, 미국 수출 규제 타깃이 된 중국 비중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

    2025-06-01 17:00
  • 기사 썸네일
    “초격차 기술 확보”...민관 무기발광(iLED) 디스플레이 구축사업 첫걸음 뗐다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는 무기발광 다이오드(iLED) 디스플레이 주도권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민관 협력사업이 첫발을 뗐다. 1일 지자체·공공기관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생태계 구축 사업(이하 사업)'이 본격 가동된다. 사업은

    2025-06-01 16:00
  • 기사 썸네일
    LG엔솔, 美 미시간 공장서 ESS용 LFP 배터리 양산 돌입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미시간주 홀랜드 공장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대량 생산을 시작했다고 1일 밝혔다. 회사는 미시간주 공장에서 만들어지는 롱 셀 기반 ESS 전용 파우치형 LFP 배터리가 테라젠과 델타 등 주요 고객사에 공급된다고 설

    2025-06-01 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