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erence
allshowTV
English
ETstudio
검색
뉴스
속보
경제·금융
전자·모빌리티
통신·미디어·게임
소재·부품
SW·보안
산업·에너지·환경
플랫폼·유통
벤처·바이오
뉴스
정치
전국
국제
골프
화제의뉴스
인사·부음
오피니언
특집
연재
비주얼IT
스페셜리포트
ETstudio
뷰포인트
인포그래픽
라이프
연예
포토
공연전시
생활문화
부가서비스
IT교육지원캠페인
콘퍼런스
allshowTV
IT 전시 컨벤션
ET프리미엄
시사용어
PDF 서비스
English
서비스 안내
신문구독신청
온라인광고안내
콘텐츠구매
초판서비스
번역센터
회원 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패밀리미디어
RPM9
특집
연재
박재민 교수의 펀한 기술경영
〈378〉혁신을 안무하다
온 유어 토스(On Your Toes). 흔히 ‘단단히 준비해’나 ‘긴장해야 해’ 같은 의미의 단어 묶음으로 쓰인다. 하지만 문자 그대로라면 ‘까치발’도 됨직 싶은 이것은 브로드웨이 역사상 가장 중요한 뮤지컬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 뮤지컬은 여럿 브로드웨이 전설을 낳
2023-08-15 16:00:00
〈377〉무작위란 쉬운 답의 반대편
언젠가 인터넷으로 뭔가를 신청할 때였다. 화면의 입력난을 채워나가다가 몇 군데 공란을 채울 수가 없었다. 빈 칸 위로 커서가 옮겨가야 하는데 몇 번인가 해보았지만 방법이 없었다. 웹사이트 하단에 있는 번호로 전화를 했다. 담당자가 받기에 상황을 설명했다. 자신의 컴퓨터
2023-08-08 16:00:00
〈376〉서브스크립션 페노메나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구독이라 번역한다. 단어는 그 자체로 의미를 담고 있는 데, 말 그대로 ‘아래에’와 ‘서명하다’는 뜻이다. 즉, 문서에 서명하거나 계약에 동의한다는 의미다. 이것의 기원에는 여러 설이 있다. 누군가는 1638년 무렵 화재보험이라
2023-08-01 16:00:00
〈374〉어느 기업의 맥락 있는 선택
컨텍스트(Context). 원래는 텍스트의 구조나 텍스트가 구성되는 방식을 의미했다고 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차츰 뭔가와 관련된 ‘설정’이나 ‘배경’을 나타내게 되었다. 그런 탓인지 맥락이나 문맥으로도 번역된다. ‘줄기 맥(脈)’ 자가 쓰인 걸 보면 엉뚱한 줄기를 잡고
2023-07-18 16:00:00
〈373〉꽤 오래전 시작된 오늘
옵설리트(obsolete). 쉬운 단어는 아니다. 하지만 요즘 부쩍 자주 쓰이는 듯 싶다. ‘한물간’이나 ‘구식’ 혹은 ‘진부하다’는 의미로 쓰인다. 거기다 이 단어가 쓰인 가장 유명한 경구는 드러커의 것이겠다. 그는 “이것은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진부한 것으로 만들고
2023-07-11 16:00:00
〈372〉온전한 변신으로의 첫 발자국
루크웜(Lukewarm). 어느 블로그엔 루크와 웜이란 단어가 결합된 것이라고 한다. 이건 어느 정도 맞되 온전히 그렇지는 않다. 굳이 고쳐 설명하자면 이건 오래된 영어 루트웜(leohtwearm)에서 왔다고 한다. 하지만 루트(leoht)는 ‘옅은’이나 ‘밝은’을,
2023-07-04 16:00:00
〈371〉두 여울목을 넘어서
여울목. 어느 사전은 여울물이 턱진 곳이라고 설명한다. 강이나 내의 바닥이 얕거나 폭이 좁아 흐르는 곳을 여울이라 하니 이런 곳 중에서도 유독 두두룩한 곳을 이리 지칭하는 듯도 싶다. 그렇다고 이리 불리는 곳들 모두가 같은 모양새는 아닌가 보다. 어딘 수심 얕고 맑은
2023-06-27 16:00:00
〈370〉혁신과 실존의 닮은 꼴
웨이크업 콜(Wake-up Call). 한 사전은 두 가지 설명을 준다. 하나는 호텔 등의 모닝콜이다. 다른 해설은 사람의 주의를 촉구하는 일이나 사건이다. 그리고 후자는 꽤 잘 알려진 다른 용어와도 닿아보인다. 바로 철학자 쇠렌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적 순간(exist
2023-06-20 16:00:00
〈369〉보틀넥, 그 마저 해낸다면
보틀(bottle). 액체를 담거나 운반하기 위한 목이 좁은 속이 빈 용기를 말한다. 원체 널리 사용된 탓인지 고대 프랑스어에는 부티유(boteille), 스페인어로는 보텔라(botella)처럼 진즉 쓰였다. 그러다보니 보틀넥(bottleneck)도 병목이나 장애물이란
2023-06-13 16:00:00
〈368〉혁신의 본질
비오스(Bios). 그리스어로 생명이란 뜻이다. 그리스어 조에(Zoe)도 비슷한 뜻이라고 사전은 소개한다. 단지 비오스가 개인 또는 유기체의 물리적인 육체적인 생명을 가리킨다면 조에는 이들에 생명을 불어넣는 생명력을 의미한다는 차이가 있다. 그래서 조에는 라이프(lif
2023-06-06 16:00:00
〈367〉경쟁우위 혹은 무엇?
변곡점. 영어로 인플렉션 포인트(inflection point)라고 불린 이것은 변화의 방향이 바뀌는 곡선 위의 점을 말한다. 변곡점은 원래 경제가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하는 시점을 말하는 것으로 쓰이기도 했다. 이것을 회자시킨 이는 다름 아닌 인텔 CEO 앤디 그로브였
2023-05-30 16:00:00
〈366〉‘플라+포름’으로의 진화
플랫폼(platform). 원래 프랑스어에 뿌리를 뒀다는 이것은 플라(plat)와 포름(forme)의 합성어라고 한다. 원래 구획한 뭔가를 의미했다고 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기차 플랫폼 같은 구조물이나 단상이나 무대를 지칭하는 것이 됐다. 물론 얼마 전엔 다른 의미도
2023-05-23 16:00:00
〈365〉뫼비우스형 혁신
데이터(data). 라틴어 데이툼(datum)에서 왔다고 한다. ‘주다’란 의미의 라틴어 다레(dare)처럼 뭔가 주어진 것이란 의미를 가졌다. 그리고 17세기 즈음 주장의 근거로 쓰여진 사실이나 정보란 뜻으로 영어로 들어왔다고 알려졌다. 버젓이 데이텀(datum)이란
2023-05-16 16:00:00
〈364디지털 레이싱
디지털(digital). 손가락을 의미하는 라틴어 ‘디지투스(digitus)’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어쩌면 고대 로마 사람도 개수를 세거나 뭔가 셈을 하기 위해 손가락을 사용했던 듯한 데, 이것이 훗날 숫자나 숫자로 표현된 것을 지칭하는 것이 됐었던 듯하다. 이리 보면
2023-05-09 16:00:00
〈363〉에코시스템으로 보는 혁신
에코(Eco-). 대개는 어떤 단어 앞에 붙어서 의미의 가닥을 잡는 접두어로 쓰인다. 이것의 기원이 되는 그리스어 오이코스(oikos)는 원래 집이나 집에 사는 사람을 일컬었다고 한다. 이것이 다른 단어와 결합되면 생...
2023-05-02 16:00:00
1
2
3
4
5
6
7
8
9
10
»
다음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