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유전정보 확보戰, 한국은 선진국 10분의 1 수준

마크로젠 연구진이 유전자 분석 연구를 하고 있다.
마크로젠 연구진이 유전자 분석 연구를 하고 있다.

한국은 세계적 유전자 분석 기술을 갖췄지만 정작 확보한 유전체 정보는 선진국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선진국은 맞춤형 의학을 구현할 열쇠로 유전체 정보 확보에 사활을 거는데 우리는 손놓고 있는 실정이다. 바이오 경제시대 유전체 빅데이터 확보로 경쟁력 확보 목소리가 높다.

29일 정부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유럽, 싱가포르 등은 수백억원을 투입해 자국민 유전체 정보 확보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확보한 정보는 병원, 민간 연구소, 기업 등에 공유해 국민 보건과 산업 육성 씨앗으로 활용한다. 우리나라는 데이터 확보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다.

유전체 정보는 개인 유전 질병 취약 요인, 약물 적합성 맞춤형 치료·예방법을 제시하는 핵심 데이터다. 단순 진료, 검사 정보에 의존했던 의료 환경을 넘어 정밀의학을 구현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 최근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기술발달과 장비 성능 고도화로 활용 폭이 넓어졌다. 선진국은 자국민 유전체 정보를 확보, 암 등 국가 의료비 부담을 늘리는 요인을 예방한다. 희귀·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에도 활용해 보건과 산업 육성을 동시에 추구한다.

최근 영국 보건사회복지부는 5년 내 500만명 유전체 정보를 확보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2012년 착수한 10만명 유전체 정보 분석 프로젝트를 확대해 암, 감염질환, 희귀질환 환자 유전정보를 확보하는 게 목적이다. 5년 간 총 5000억원을 투입한다. 단순 정보 확보를 넘어 글로벌 제약사와 제휴해 신약개발에 활용할 계획도 밝혔다.

미국도 2022년 완료를 목표로 자국민 100만 명 유전체 정보 확보 프로젝트(정밀의료 이니셔티브)를 진행 중이다. 5년간 325억원을 투입해 분석 작업까지 동시 추진한다. 민간은 유전체 분석 업체 23andMe와 구글이 500만명 유전체 정보를 확보했다.

핀란드(50만명), 싱가포르(100만명) 등도 바이오뱅크를 구축, 최대 100만명에 이르는 유전체 정보 확보에 나선다.

국내는 국가 주도 유전체 정보 확보 건수가 1만명도 안 된다. 생명연구자원 통합시스템(KOBIS)와 임상·유전체 생명정보시스템(CODA)가 확보한 유전체 정보 건수는 다 합쳐서 1280개에 불과하다. 고대의료원이 진행하는 정밀의료 국가전략 프로젝트에서 1만명 정보를 수집할 예정이다. 울산 게놈 프로젝트도 1만 명 수집을 목표로 한다. 모두 성공적으로 수집해도 5만 명도 안 된다.

서정선 마크로젠 회장은 “선진국은 국가 주도 대규모 유전체 정보 확보 프로젝트를 진행하지만, 우리 정부의 투자 현황은 걸음마 수준”이라면서 “유전체 정보 확보 비전은 물론 치료, 산업화 등 활용 목적조차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디엔에이링크 연구진이 SNP 방식 바이오 마커를 들어보이고 있다.(자료: 전자신문 DB)
디엔에이링크 연구진이 SNP 방식 바이오 마커를 들어보이고 있다.(자료: 전자신문 DB)

데이터도 부족하지만, 활용 체계도 미비하다. KOBIS, CODA는 유전체 정보를 민간에 분양하지만, 절차가 까다로운 데다 품질도 떨어진다. 대부분 만성질환이나 일반 한국인 유전체 정보다 대부분이라 핵심인 암 유전정보는 찾기 어렵다. 강력한 개인정보보호법 때문에 활용은 물론 기증도 쉽지 않다.

이종은 디엔에이링크 대표는 “정밀의료 핵심인 암 유전체 정보는 국내에서 찾기 어려워 선진국과 격차가 크다”면서 “유전체 정보는 병원 진료 등 임상정보화 결합될 때 의미가 커지는데, 시스템이 단절된 데다 개인정보보호법으로 민간 활용 제약이 많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표, 주요 국가별 유전체 정보 확보 프로젝트 현황(자료: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업계 취합)>

세계는 유전정보 확보戰, 한국은 선진국 10분의 1 수준


[전자신문 CIOBIZ] 정용철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