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AI 산업, 우수한 인프라에도 경쟁력은 '하위권'

우리나라 인공지능(AI) 산업이 인재와 정부 전략, 기업환경 부문 등에서 다른 나라에 뒤처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15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국가별 AI 산업 수준을 비교한 '글로벌 AI 인덱스'를 분석한 결과, 한국은 우수한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에도 AI 산업 성장이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빠르게 성장하는 글로벌 AI 시장에서 경쟁을 위해 정부의 투자 지원, 빈약한 인력 풀, 규제에 막힌 산업 여건 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韓 AI 산업, 우수한 인프라에도 경쟁력은 '하위권'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발표된 글로벌 AI 인덱스에 따르면 한국 AI 생태계 수준은 54개국 중 종합 순위 8위를 기록했다. 항목별로 7개 부문 중 인프라와 개발을 제외한 5개 부문에서 중하위권 수준에 머물렀다. 특히 인재와 운영 환경, 정부 전략과 벤처 현황은 평균 이하였다.

미국은 AI 전문 인력 수준과 인터넷과 네트워크 등 인프라, 학술논문 등 연구 수준과 벤처기업 규모와 투자기금 등 벤처 현황까지 4개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영국은 데이터 규제 등 행정 여건을 의미하는 운영환경 부문, 중국은 특허와 신제품 등 개발 부문과 정부 전략에서 1위에 올랐다. 반면 한국은 네트워크 환경과 안정성을 의미하는 인프라 부문과 특허, 제품 혁신 등 개발 부문에서 5위권에 진입했지만, 나머지는 모두 중하위권으로 AI 발전을 위한 산업 생태계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세계 최초 5G 도입 등 우수한 인프라에도 산업 성장이 더딘 이유로 정부 차원의 정책 지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AI 분야 국가 차원 투자지원 등을 의미하는 정부 전략 부문의 한국 순위는 54개국 중 31위로 7개 항목 중 최저 순위를 기록했다.

韓 AI 산업, 우수한 인프라에도 경쟁력은 '하위권'

AI 인재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AI 기술을 활용하는 전문 인력을 의미하는 인재 부문에서 11.4점을 받아 1위 미국의 10분의 1 수준에 그쳤다. AI 관련 학술논문 등 출판물의 양적 수준과 인용 정도를 의미하는 연구 수준도 22.4점으로 22위에 머물렀다.

신산업 규제 등 AI 벤처와 스타트업이 성장하기 어려운 한국 비즈니스 여건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데이터 활용 정책과 해외 인재 영입을 위한 비자, 행정절차와 규제환경을 나타내는 운영환경 부문에서 한국은 47.1점으로 54개국 중 30위였다. 스타트업 규모와 투자를 의미하는 벤처 현황 부문도 25위를 기록했다. 점수는 3.3점으로 1위 미국(100점)과 차이가 컸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비대면 시대 AI 시장은 12.3% 성장이 전망되는 등 미래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한국의 현주소는 예상보다 낮았다”면서 “AI 선진국인 미국과 중국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기술 경쟁력 원천인 인재 확보는 물론 빠르고 강력한 규제 완화와 투자, 세제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치연기자 chiye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