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2021 대전망] <1>코로나발 산업 재편, 지역별 맞춤전략 짜야

북미, 그린뉴딜 등 디지털 체질 전환
EU, 프리미엄 소비재 성장동력 발굴
동남아, 부품소재·5G 인프라 활성화
중동, 해외기업 유입 적극 유도 나서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거세진 글로벌공급망(GVC) 재편과 디지털 전환을 통한 산업 구조 재편은 올해도 계속될 글로벌 메가트렌드다. 또 미국 바이든 행정부 출범을 비롯한 변화 요인으로 세계 통상질서도 요동칠 전망이다. 이 같은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가운데 우리 기업들은 새로운 대응 전략을 요구받고 있다. 전자신문은 2021년 신축년 새해를 맞아 KOTRA 10개 지역 본부장 설문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전망했다. 글로벌 메가트렌드를 구성하는 각 지역 변화를 최일선에서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한 이번 설문 결과는 국내 기업은 물론 정책 결정권자 등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KOTRA 2021 대전망] &lt;1&gt;코로나발 산업 재편, 지역별 맞춤전략 짜야

KOTRA 지역본부장들은 우리 기업들이 새롭게 재편되는 GVC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전환을 기반으로 지역별 맞춤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선진시장에서는 미래 산업형 핵심 기술을 무기로 고부가가치 시장에 진입하고, 신흥시장에서는 증가하는 비대면 산업 수요를 겨냥한 수요 확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우선 북미시장에서는 정부 주도 사회간접자본(SOC) 투자와 그린뉴딜, GVC 재편 과정에서 한국 기업의 투자 기회가 확대될 전망이다. 산업계가 빠르게 디지털로 체질을 전환하면서 우리 주력 수출품목인 정보기술(IT) 기기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신재생에너지, 환경 플랜트 등에서도 시장 진입 장벽이 한층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지형 북미지역본부장은 “제조업 부흥을 공약으로 내세운 바이든 행정부가 한국 등 동맹국과 연대해 글로벌 가치사슬을 새롭게 구축하는 만큼 미래차 분야 등에서 국내 기업 진출 기회도 확대될 것”이라면서 “현지 기업 제휴를 통한 소재·부품·장비 공급, 공동 수주 전략이 자국우선주의 기조 대응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시장에서는 경제산업 모델 전환에 맞춰 보다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중국 정부는 최근 내수 중심 쌍순환 모델인 14·5 규획을 정립했다. 내수 소비 확대와 공급망 확충을 기본으로 해외 시장과 산업 사슬을 연결하는 게 골자다.

박한진 중국지역본부장은 “디지털 경제 전환을 위한 새로운 SOC 투자와 내수 진작,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체결에 따른 개방 확대에 따라 대중국 투자 기회도 커졌다”면서도 “올해가 경제 모델 전환 첫 해인 만큼 리스크가 크다”고 조언했다. 그는 “우리 기업이 월등하게 우위를 확보한 분야가 아니라면 현지 기업과 역할을 분담하는 연결 전략으로 시장에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변화에 보수적인 유럽에서도 코로나 영향으로 산업의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시장 선점을 위한 우리 기업들의 발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

이길범 유럽지역본부장은 한국 기업들이 유럽의 프리미엄 소비재와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다른 지역과 비교해 높은 진입장벽을 감안해 주요 산업 분야별 인증, 다국어 라벨링 등 철저한 사전 준비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본부장은 “유럽의 디지털 전환 기술협력 수요 증가에 대응해 사업화 연계 연구개발(R&BD) 형태 차세대 GVC 진입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면서 “유럽 대기업의 기업형벤처캐피털(CVC) 프로그램 등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유럽연합(EU)와 영국 간 교역은 브렉시트에 따라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EU, 영국과 각각 자유무역협정(FTA)를 체결했다. 이 본부장은 두 지역 바이어의 대체 공급망 수요를 공략하는 것을 중요한 현지 진출 전략 중 하나로 꼽았다.

신흥시장 진입 기회도 늘고 있다. 현지 전통산업의 디지털 전환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우리 정부가 신남방·신북방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기 때문이다. 동남아시아와 중동은 해외기업 투자 유치를 이끌기 위한 각종 인센티브를 확대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동남아는 아세안을 중심으로 새롭게 형성되는 GVC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니켈 수출을 중단하고 외국자본을 유치해 전기차 배터리 제조업 활성화를 추진하는 인도네시아가 대표적이다. 다른 아세안 국가들도 자국 부품소재 산업 육성과 5G 인프라 구축을 위한 투자 유치, 인센티브 확대 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동에서는 경기부양을 위한 각종 인프라 투자와 함께 소비재 산업 영역에서 한국 기업에 기회가 주어지고 있다. 아랍에미리트(UAE)는 최근 외국인이 전체 법인 지분 가운데 최대 49%를 보유하도록 제한했던 규제를 폐지했다. 자국민이 혜택을 누린 스폰서 제도를 없애면서 해외기업 유입을 적극 유도하는 전략이다.

러시아에서는 로스텔레콤과 얀덱스 등 현지 IT기업과 이동통신사들이 농업, 의료, 자동차 등 모든 사업 분야로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스마트팜, 디지털 의료, 자율주행 등에서 관련 신기술을 보유한 한국 기업들이 현지에 안착해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우리 기업들이 신흥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원산지 표기, 국가별 인증, 문화, 관행 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예컨대 이슬람 문화권인 인도네시아나 말레이시아는 할랄 제품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영세 바이어가 많은 캄보디아, 미얀마, 라오스 등은 일방적 계약 파기 가능성이 상종하기 때문에 사전 대비가 필요하다.

이종섭 동남아대양주본부장은 “각국 통관절차와 인증 절차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철저한 준비와 전략적 시장 진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KOTRA 2021 대전망] &lt;1&gt;코로나발 산업 재편, 지역별 맞춤전략 짜야


박준호기자 junh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