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가 양자기술 산업화에 시동을 걸었다. 실용과 성장이라는 새정부 기조에 맞춰 연구개발(R&D) 중심이던 첨단기술 담론을 실용화하겠다는 의지다.
산업부는 18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제2차 양자기술 산업화 포럼'을 열고 △업종별 1000개 유즈케이스 실증 △주력산업 특화 플랫폼 구축 △산업인력 1만명 양성 등의 실행계획을 구체화했다.
지난 2월 열린 '제1차 포럼'이 양자기술 산업화 정책 논의를 공식화하는 출범 선언 성격의 자리였다면, 이번 2차 포럼에선 구체적인 실행방안까지 도출했다. 사전 구성된 5개 분과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양자기술을 실제 산업현장에 적용하는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구체적으로 단순한 기술개발 단계에서 벗어나, 제조·물류·의료·통신·보안 등 다양한 산업에 양자기술을 직접 적용하는 '1000개 유즈케이스 실증'을 중점 과제로 설정했다. 이를 통해 양자기술의 실질적 수요처를 발굴하고, 기술 상용화의 발판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또 주력산업과 연계된 '특화형 양자기술 플랫폼'을 구축해 기업의 기술 활용 허들을 낮추고, 중소·중견기업도 양자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 공유 모델을 개발한다. 대기업 R&D센터, 스타트업, 대학 연구소 등과 연계된 민관 협력 생태계도 병행 추진된다.
전문인력 양성도 본격화된다. △양자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전문 교육과정 확대 △산학연 협력 기반의 인력 양성 프로그램 도입 △국제 공동연구와 인턴십 확대 등을 통해 2030년까지 실무형 인재 1만명을 양성한다. 양성된 전문인력은 양자컴퓨팅, 양자암호, 양자센서 등 양자기술 전 분야에서 공급된다. 산업계와 연계된 맞춤형 커리큘럼도 마련될 예정이다.
그동안 인공지능 대전환(AX), 스마트제조 등 디지털 기반 산업정책에 집중해 온 산업부가 양자기술을 별도 산업군으로 규정하고 전용 로드맵을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속에서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주요국과의 격차를 좁히고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으로 해석된다.
이는 올해 초 열린 CES 2025에서 구글, IBM,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등 글로벌 빅테크들이 양자기술 기반 제품을 대거 선보이는 등 상용화에 진입한 흐름과 무관하지 않다.
산업부 관계자는 “양자기술은 AI, 바이오에 이어 3대 게임체인저”라며 “단순한 기술 선도에 머물지 않고 산업 주도권 확보와 공급망 전략 수립까지 연결되는 정책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산업부는 이번 포럼을 계기로 각 분과별 실행 로드맵을 정비하고, 하반기 중 관련 예산과 제도 정비를 통해 양자기술 산업화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

안영국 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