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플랫폼-PP 상호 신뢰 회복부터

통신방송과학부 박종진 기자
통신방송과학부 박종진 기자

유료방송 플랫폼과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간 갈등의 하나가 PP 프로그램 사용료 계약 지연이다.

오죽하면 정부가 가이드라인을 통해 차기연도 계약을 당해연도 말까지 하도록 권고했겠는가.

그러나 PP는 플랫폼이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지 않는다고, 플랫폼은 대형 PP가 '블랙아웃'을 무기로 협상을 의도적으로 회피한다고 책임을 서로에게 떠넘기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계약이 제때 이뤄지는 사례가 드물다. 갈등의 골이 깊다는 방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유료방송 채널 정기 개편 횟수 개선을 추진하자 플랫폼과 PP가 엇갈린 해석을 내놓고 있다. 플랫폼과 PP 간 갈등이 또다시 불거질 가능성이 불을 보듯 분명해진다.

정부가 유료방송 채널편성 자율권 확대를 이유로 제시했다. 그러나 PP는 인터넷(IP)TV와 케이블TV 합병으로 거대 사업자가 된 플랫폼이 채널 개편을 무기로 PP를 압박할 것이라고 우려한다. 경쟁력 있는 앞 번호를 우호적 PP에 배정할 것이라고 경계한다.

플랫폼은 정기 개편 1회를 PP가 악용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며 차제에 개선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PP의 우려는 우려일 뿐이라며 귓등으로 듣는 둥 마는 둥 하고 있다.

양 진영의 강경한 입장을 고려하면 원만한 타협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럼에도 채널 정기 개편은 당장 해결해야 할 현실이다. 대타협의 전제는 플랫폼과 PP 간 상호 신뢰다. 신뢰가 전제되지 않는 타협은 반쪽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플랫폼이 채널 개편 자율권을 확보하면 신의·성실 원칙에 따라 프로그램 사용료 협상에 임해 PP 우려를 종식시켜야 한다. 공정하고 투명한 채널 평가로 PP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PP 역시 시청률과 시청점유율 등 정확한 수치에 근거해야 한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성장 등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서 불필요한 갈등은 최소화하고 각자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건 두말하면 잔소리다. 채널 정기 개편이 유료방송과 PP 간 신뢰 회복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