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헬스 산업계 “새 정부 출범 환영, R&D 체계 개편·공공의료 확충 조속 이행 요구”

바이오헬스 산업계는 이재명 대통령 당선을 일제히 환영함과 동시에 제약·바이오 분야 연구개발(R&D) 혁신, 공공의료 강화 등 오랜 과제 해소를 촉구했다. 글로벌 경쟁 심화와 초고령, 저출산 등 사회문제까지 대두되면서 정부의 적극적인 해결 의지를 보여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4일 논평을 통해 이재명 대통령 취임을 진심으로 축하하며 사회통합과 경제 성장,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해 헌신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제약바이오협회는 “제약바이오산업은 우수한 인재와 신약기술, 연구개발 역량, 세계적 수준의 제조 인프라, 인공지능(AI) 융복합 기술 등 혁신적 잠재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약 기회를 맞고 있다”면서 “제약바이오강국 실현은 산업계의 부단한 도전과 혁신, 그리고 정부의 과감한 지원 등 민관 역량이 모두 결집돼야만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부의 제약바이오 R&D 정책기조가 성과 도출을 중심으로 재편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2023년 기준 정부의 제약바이오 분야 R&D 예산 중 기업 등 산업 현장에 대한 지원 비중은 13.5%로 IT(44.5%) 등과 비교해 낮다는 점을 예로 들었다. 상업화에 임박한 기업을 중심으로 R&D 지원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지난해 10월 열린 2024 국제 병원의료산업 박람회에서 참관객이 의료정보시스템 소개를 듣고 있다. 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지난해 10월 열린 2024 국제 병원의료산업 박람회에서 참관객이 의료정보시스템 소개를 듣고 있다. 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이와 함께 제약바이오협회는 약가제도도 개편해 R&D 활성화를 뒷받침하고, 디지털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정부 지원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는 이재명 대통령이 AI 강국 도약을 강조한 만큼 디지털헬스 산업도 이에 발맞춘 성장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협회는 “경제적으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한 지금, 디지털헬스산업 퍼스트무버 육성을 위한 수요창출형 내수진작책을 우선 시행해 민생경제 안정을 도모하고, 기업은 이를 트랙레코드로 삼아 적극적 수출에 나서는 선순환 구조가 실현되길 희망한다”면서 “나아가 디지털헬스산업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기업육성과 규제혁신으로 경제 및 산업 대도약 기틀을 이루길 바란다”고 밝혔다.

보건의료 단체들도 윤석열 정부의 의료개혁 강행에 따른 혼란을 수습하고, 공공의료를 강화할 정책 마련을 촉구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지난달 15일 더불어민주당과 보건의료인력 확충 및 지원, 의료체계 혁신, 공공의료 확충 등을 골자로 체결한 정책협약의 조속한 이행을 요구했다.

노조는 이날 논평에서 “지난 5월 15일 체결한 정책협약의 조속한 이행을 강조한다”면서 “특히 2021년 9월 체결한 '9.2 노정합의' 이행의지를 밝히는 것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어 “합의서 작성 이후 이행협의체를 구성해 진행 상황을 점검해 왔다”면서 “윤석열 정부 이후 이행 점검은 사실상 중단됐으며, 새 정부는 내란 세력을 청산하고 민주주의를 복원하는 과제를 추진하는 것처럼 9.2 하의 이행도 다시 충실하게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